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이낙준작가의 글쓰기 비법과 웹소설 전망 앞서 포스팅 했던 이낙준 작가는 의사라는 특수한 직업 경험을 바탕으로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 같은 메디컬 웹소설을 집필하며 대중적 성공을 거두었고, 해당 작품은 웹툰과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습니다. 최성운의 사고실험 2부에서는 그가 웹소설 산업을 바라보는 시각, 창작 철학, 그리고 작가로서의 생존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작가 전향과 수입 변화의사 시절 수입에 비해 지금은 훨씬 많아졌다고 밝히며, 처음에는 수익을 기대하고 글을 쓴 것은 아니었지만,전업 작가로 웹툰화 등을 통해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 수명이 길어지는 것을 보며 일정 수익이 보장된다는 확신을 가졌고, 결국 과감하게 커리어를 전환하였습니다. 웹소설 산업의 성장초기에는 ‘월 천만 원 작가’가 화.. 2025. 5. 2.
깊은 숨이 안 쉬어지는 만성 억제성, 제한성 폐질환(CRPD) 만성구속성, 억제성, 제한성 폐질환으로 약간씩 다르게 부르지만 흉벽, 호흡근, 흉부에 작용하는 신경뿐만 아니라 흉막 및 폐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병리학적 과정을 갖고 있습니다. Chronic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 : CRPD한마디로 정상 폐는 풍선처럼 잘 부풀고, 공기도 많이 들어오지만, CRPD 폐는 딱딱하거나 눌려있어 잘 부풀어 지지 않는 숨을 깊이 못 쉬는 상태입니다. 원인 신경근 근육 - 근이영양증(근육저하), 근염신경 - 횡경막 신경마비, 신경염신경근 접합 - 중증근무력증, 이든-램버튼증후군, 보툴리누스 중독척수질환 -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만성 퇴행성질환) 외상 척추측만즉강직성척추염병적인 비만 및 대사증후군 내인성 폐질환간질 염증 및 섬유소 특발성 폐섬유화.. 2025. 4. 30.
PNF 스트레칭과 종류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스트레칭은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으로 근육의 유연성 향상과 근력 향상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습니다 PNF는 수축- 이완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1. 수동신장(Passive Stretch)대상근육을 스트레칭해서 늘려줍니다. 2.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근육을 늘린 상태에서 5~10초 정도 힘을 줍니다. (ex : 허벅지 앞쪽 스트레칭을 할 때 파트너가 다리를 눌러주는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릴려고 버티기) 3. 이완(Relaxation)힘 을 풀고 2~3초간 이완합니다. 4. 다시 신장(Stretch Again)이완 후 근육이 더 잘 늘어나기 때문에 다시 스트레칭하면 더 깊게 늘어납니.. 2025. 4. 29.
증증외상센터 작가 이낙준의 이야기 이비인후과 전문의인기 유튜브 채널 의 멤버누적 조회수 1억 회를 자랑하는 웹소설 작가 이 모든 것이 한 사람 바로 이낙준작가입니다. 유튜브 사고실험에서의 그의 인생 이야기가 흥미로웠습니다. 그는 과거 전교 1등 출신으로 엘리트 코스를 밟아 의대에 진학하고, 의사로서도 서울삼성병원에서 경력을 쌓았으나, 현재는 의사를 그만두고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글쓰기를 32세에 시작했으며, 당시 이미 결혼하고 아이도 있는 상황에서 시작한 일이었습니다. 취미로 시작한 웹소설 인하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하던 중,그는 병원에서의 삶이 너무 힘들고 고된 반면, 그 와중에도 "내가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사명감과 자부심이 있었다고 합니다.하지만 이 일을 지속 가능하다고 느끼지 못.. 2025. 4. 28.
심장이식 과 운동반응 심장이식(Heart Transplantation)우리 몸 엔진이라고 하는 심장이 손상되었거나, 치료가 불가능하여 생명에 위협을 받는 사람들에게 심장이식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심장이식수술뇌사에 빠진 환자에게 건강한 심장을 기증받아 이식하는 외과술 대상자 말기 심부전 환자 (좌심실 박출률(LVEF) ≤ 25 ~ 30% 이하 심장판막질환말기관상동맥질환 심장이식과 운동반응 1. 신경지배 상실(Denervation)이식된 심장은 자율신경계와 연결되어 있지 않음.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직접적인 조절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심장은 운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호르몬(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에 의존해서 점진적으로 반응합니다. 2. 심박수 반응의 변화 휴식 시 심박수 : 일반인보다 안정 시 심박수는 분당.. 2025. 4. 26.
팔이나 손이 저리고, 감각이 이상 하면 흉곽출구증후군 의심 가슴문 증후군이라고 불렸는데 정확한 명칭은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입니다. 흉곽 출구(thoracic outlet) 부위에서 신경, 동맥, 정맥 등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해부학적으로 쇄골(clavicle)과 제1늑골(forst rib)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이 공간을 지나가는 구조물들이 압박을 받으면 증상이 나타납니다. 한마디로 목과 어깨 사이의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을 받아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원인자세이상(거북목, 오랫동안 팔을 위로 올리는 직업)근육 비대 (운동선수, 트레이너)선천적 구조이상 외상(교통사고 등) 증상 팔, 손저림이나 감각이상어개, 목 통증손의 근력 약화혈류 장애(손이 창백해지거나 차가움) 종류 신경성.. 2025.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