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택적 무언증(Selective Mutism, SM)은 아동기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특정한 사회적 상황에서만 말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선택적 무언증 주요 증상
- 특정 상황에서 말하지 않음 가정에서는 말을 잘하지만, 학교나 낯선 사람 앞에서는 말을 전혀 하지 않음
- 말하지 않음이 1개월 이상 지속 진단 기준은 최소 1개월 이상, 첫 학교 적응 기간은 제외함.
- 언어 능력은 정상 언어장애는 없으며, 가정이나 편한 상황에서는 정상적으로 말함.
- 비언어적 의사소통도 회피 말뿐 아니라 눈맞춤, 손짓, 몸짓 등도 제한되거나 회피함.
- 강한 불안 반응 특정 상황에서 말을 시키면 극도의 긴장, 땀, 얼굴 붉힘, 떨림, 회피 행동 등이 나타남.
- 사회적 위축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않거나 지나치게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으려 함.
임상적 특징 및 진단 기준 (DSM-5 기준)
- 사회적 상호작용의 제한. 말하지 않음으로 인해 친구 사귀기, 학교 활동 참여 등에 어려움이 많음.
- 불안장애와의 중복 약 90% 이상의 환자가 사회불안장애도 함께 겪음.
- 가정 내와 외부의 말하기 차이 부모나 형제와는 잘 이야기하지만, 외부인 앞에서는 완전히 침묵함.
- 성격적 경향 내성적, 수줍음 많고,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있는 경우가 많음.
- 발병 시기 보통 3~5세 사이에 시작되며, 학교 입학 후 증상이 뚜렷해짐.
- 여아에서 더 흔함 남아보다 여아에서 약간 더 높은 유병률을 보임.
진단 제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등은 제외되어야 함.
예후
조기 개입 시 회복 가능성이 높음.
치료 없이 방치되면 성인기까지 불안장애, 우울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
치료 접근은 불안 감소 + 긍정적 말하기 경험 제공이 핵심.
치료 방법
- 행동치료 (CBT) 점진적 노출, 강화법, 모델링 등을 통해 말하는 행동을 촉진.
- 놀이치료 어린 아이의 경우, 놀이를 통해 불안을 표현하고 말하기를 유도.
- 부모교육 부모의 압박을 줄이고, 일관된 반응을 유지하도록 지도.
- 약물치료 (필요시) 심한 불안이 동반될 경우 SSRI(예: 플루옥세틴) 사용 고려.
선택적 무언증 관련 영화 추천
Little Miss Sunshine (2006)
각기 다른 문제를 안고 있는 가족이 막내딸의 미인대회 출전을 위해 장거리 여행을 떠나며 벌어지는 이야기.
주인공 중 한 명인 ‘드웨인’은 자발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선택적 침묵 상태.
그 이유가 후반부에 드러나며 감정적인 전환이 크게 작용함.
선택적 무언증은 아니지만, 의사소통을 차단한 청소년의 심리를 보여줌.

반응형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중력이 올라가는 시간대 (20) | 2025.07.18 |
---|---|
성공적인 삶을 위한 아침 습관 (11) | 2025.07.17 |
잘자야 뇌가 건강합니다. (4) | 2025.07.15 |
생텍쥐페리에게 배우는 정신력 (8) | 2025.07.14 |
분리불안 장애와 영화 인사이드 아웃 (2)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