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만성질환34

운동과 관련된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은 말초신경계(뇌와 척수 바깥에서 작용하는 신경)가 손상되어 감각, 운동, 자율기능 등에 다양한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며, 외상, 독성, 감염, 유전 등도 포함됩니다. 말초신경병증의 기초 병태생리정의 및 분류말초신경병증은 손상된 신경의 종류에 따라 나눕니다감각신경병증: 저림, 통증, 이상감각 등운동신경병증: 근력 저하, 근위축자율신경병증: 발한 이상, 혈압변화, 위장운동 장애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축삭 손상(Axonal degeneration) → 신경 전달 속도 저하, 근육 위축수초 탈락(Demyelination) → 신호 전달 장애, 반사 저하산화스트레스와 염증반응 →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 고혈당이 유발하는 주.. 2025. 7. 10.
뇌로 혈액이 안 가게 되면 뇌졸중(Stroke) 이란뇌의 혈류 공급이 갑자기 차단되거나 터져서,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의 종류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전체의 약 80% 차지하며 혈관이 막혀서 생깁니다. 출혈성 뇌졸증(Hemorrhagic stroke) 전체의 약 15% 로 혈관이 터져서 생깁니다. 병태생리학 허혈성 뇌졸중 (Ischemic)원인은 혈전과 색전 때문입니다. 혈전(thrombus): 뇌혈관 내부에서 혈전이 생성색전(embolus): 심장 등 다른 부위에서 생긴 혈전이 뇌혈관으로 날아와 막음 뇌혈류 차단 → 산소와 포도당 공급 중단에너지 생산(ATP) 저하 → Na⁺/K⁺ 펌프 고장세포 부종(cytotoxic edema): 나트륨과 물이 세포 안으로 유입세포막 파괴, 칼슘 유입 .. 2025. 6. 30.
피가 안 멈추는 병 '지혈장애' 지혈장애Bleeding disorders, Hemostasis disorders혈액 응고과정에 이상이 생겨 지혈이 비정상적으로 지연되거나 출혈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상태 병태생리정상지혈 과정혈관 수축 -> 출혈 감소 1차 지혈 : 혈소찬이 손상 부위에 모여 응집2차 지혈 : 응고인자 활성화 되고, 혈소찬 혈전을 강화 원인 혈관이상 : 모세혈관 벽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 혈소판 이상 : 혈소판 수와 기능 감소 응고인자 이상 : 응고인자 결핍, 기능 저하섬유소 용해 항진 : 과도한 혈전 용해 복합요인 : 간질환, DIC(혈소판, 응고인자, 섬유소 모두이상) 특징 점상출혈, 점막출혈, 코피, 잇몸 출혈관절내 출혈, 근육 내 출혈, 큰 혈종 관리 비타민 C 보충면역억제 치료 최근 치료 혈우병 A/B : 유전.. 2025. 6. 26.
섬유근육통에 관하여 섬유근육통(Fibromyalgi, FM)은 광범위한 만성 근골격계 통증과 함께 피로, 수면장애, 인지기능저하(브레인 포그), 우울감 등을 동반하는 복합만성질환입니다. 염증성 질환이 아닌 중추신경계의 통증 조절 이상이 주된 특징 입니다. 생리학적 요인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통증 자극에 대한 뇌의 과민반응 상태 통증 자극이 약해도 뇌가 과도하게 받아들여 과장된 통증 유발 통각 역치 저하 : 멀쩡한 자극에도 통증 느낄 수 있음 통증억제 시스템 기능저하 글루타메이트, NGF(Nervw Growth Factor)등 통증 관련 물질이 증가 반면 진통에 관련된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감소 자율신경계 이상호르몬계상 이상을 들 수 있습니다. 관리 및 치료 섬유근육통은 완치보다.. 2025. 6. 20.
왜 맨날 피곤할까? 만성피로증후군이다. 쉬어도 피곤하고, 자도 피곤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피곤함을 느끼면 어쩌면 병일 수도 있다. 만성피로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CFS), 또는 기면뇌염/근통성 뇌척수염(Myalgic Encephalomyelitis, ME)는 휴식으로 회복되지 않는 심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며,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복합적이고 난치성의 질환입니다.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질환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병태생리학적 특징 (Pathophysiology)CFS/ME의 병태생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요인성(multifactorial)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면역학적 이상지속적인 면.. 2025. 6. 16.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과 필리핀 상황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은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s : HIV)감염으로 인해 면역 체계가 점점 약해지면서 각종 감염과 질병에 취약 해지는 질환입니다. 원인 HIV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해 면역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면역력이 약화됩니다. HIV감염이 수년간 진행되면, 면역력이 극도로 저하되어 AIDS단계로 발전합니다. 기초병태생리총 T세포의 현저한 감소 조절 CD4, T세포의 현저한 감소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반응 저하 효과기 CD8,T세포의 정상 또는 약간 증가 자연 살해세포 활성의 감소 감염경로 혈액 : 오염된 주사기, 혈액 성 접촉 : 성관계(이성/동성 간 모두 가능)수직감염 : 감염된 삼오로부터 출산 중 혹은 모유수유를 통해 증상 발열, 피로, 인후통, .. 2025.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