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섬유근육통에 관하여

by 외식 2025. 6. 20.
반응형

섬유근육통(Fibromyalgi, FM)은 광범위한 만성 근골격계 통증과 함께 피로, 수면장애, 인지기능저하(브레인 포그), 우울감 등을 동반하는 복합만성질환입니다. 

염증성 질환이 아닌 중추신경계의 통증 조절 이상이 주된 특징 입니다.

 

생리학적 요인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

  • 통증 자극에 대한 뇌의 과민반응 상태 
  • 통증 자극이 약해도 뇌가 과도하게 받아들여 과장된 통증 유발 
  • 통각 역치 저하 : 멀쩡한 자극에도 통증 느낄 수 있음

 
통증억제 시스템 기능저하 

  • 글루타메이트, NGF(Nervw Growth Factor)등 통증 관련 물질이 증가 
  • 반면 진통에 관련된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감소 

 
자율신경계 이상
호르몬계상 이상을 들 수 있습니다. 

 

관리 및 치료 

섬유근육통은 완치보다 증상 조절과 삶의 질 향상이 목표입니다. 
비약물 요법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운동(ACSM기준)

  • 통증감소
  • 피로감 감소
  • 수면 질 향상
  • 우울증 완화
  • 인지 기능 개선
  • 자신감 자율성 향상

 

유산소 운동 
2~3/주 일로 점차 증가하고 시간은 10~30분으로 마찬가지로 증가합니다.
걷기, 수영, 자전거가 좋습니다.
 
근력운동
2일/주 각 운동 1세트 8~12회 반복으로 저항밴드나 체중운동 
 
유연성 운동 
매일 권장하며 통증 없는 범위까지 10~30초 유지해줍니다.
 

 

ACR&EULAR 논문에 의하면 유산소 운동은 섬유근육통 환자에게 가장 권장되는 비약물적 중재이며, 꾸준히 시행 시 중등도 이상의 통증 감소 효과가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