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과민성 기관지 수축 천식(Astham)

by 외식 2025. 5. 5.
반응형

 

천식(asthma)

기도의 만성 염증과 이로 인한 기도 과민성, 가역적인 기류제한을 갖는 만성호흡기 질환입니다.
 
 

원인

  •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 알레르기 :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비듬, 꽃가루, 곰팡이등 반복 노출 시 기도에 염증이 생기고 과민반응이 유발된다.
  • 호흡기 감염 : 특히 유아기대 바이러스 감염이 천식 발병과 관력이 있습니다.
  • 대기 오염과 자극 물질 : 미세먼지(PM2.5), 오존, 담배연기, 자동차배기가스, 향수 등은 기도 자극과 염증을 유도합니다.
  • 직업성 천식 : 특정 집업에서 노출되는 물질(밀가루, 라텍스, 금속연기)이 원인 될 수 있습니다.

 
 

증상 

  • 말초 기도로부터 천명(쌕쌕거림)
  • 기침
  • 흉부압박
  • 과도한 가래(때때로)

 

기초병태 생리학 

만성염증+기도과민성+가역적인 기류제한 
시간이 지나면 기도 재형성을 나타나기도 합니다.
 
 

1. 만성염증(Chronic inflammation)

면역세포들의 활성화 : 호산구, 비만세포, T세포, 호흡기 상피 세포등이 관여합니다.
 
염증 매개물질(히스타민, 류코트리엔, 사이토카인 등)의 분비로 기도벽이 부어오르고 점액 생성이 증가합니다.
 

2. 기도 과민성(Airway Hyperresponsiveness)

천식 환자는 알레르기, 찬 공기, 운동, 자극성 오염물질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여 기관지가 쉽게 수축하고 기도가 좁아집니다.
 

3. 가역적인 기류제한(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기도 평활근 수축, 점액 분비 증가, 기도 부종 등으로 인해 공기 흐름이 제한됩니다, 만성이 되면 일부는 비가역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4. 재형성(Airway Remodeling)

염증이 장기화되면 기도벽이 두꺼워지고, 평활근 및 점액선이 증식하여 기도 구조가 영구적으로 변화합니다.
 

 

천식의 표현형

표현형 유병률일차 병리생리학적 기전
호산성~50%Type 2 Helper 세포 사이토 카인(인터루킨 4, 5, 13)은 기도호산구 증가을 유발한다.
기저막의 두께 증가 
흡입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반응 

호중성20 ~40%환경 자극제와 관련 하여 종종심한 천식
기저막의 두게 증가가 없음
흡입 코르티코 스테로이드에 대한 내성 
천식이 없는 운동유발성 기관지 경련 4~20%. 엘리트 선수의 경우 최대 50%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및 히스타민 비만세포 방출
환경오염 물질의 존재로 악화 
장기 호흡의 열 및 삼투압에 의해 유발 

 
 

관리 및 약물

 
천식관리의 주요 단계는 운동 중 호흡관란의 원인이 많기 때문에 증상, 특히 운동 관련 증상의 적절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천식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여러 종류의 약물이 있습니다.
 
흡입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합니다.
흡입 코르티코 스테로이드는 기도염증을 감소시키고 운동 관련 기관지 과민반응성 천식(BHR)을 감소시켜 천식환자의 60%까지 운동 중 기관지 보호를 제공합니다.
 
 

운동 

 
천식환자의 약 90%는 운동 중 도는 운동 후 증상이 나타나며 , 운동성 기관지경련(EIB)은 통제되지 않은 기도염증이 있는 환자에서 가장 심합니다.
 
운동성 기관지경련(EIB)이 운동을 제한하기에 충분히 심각한지 여부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 만성염증의 정도 
  • 기도반응
  • 운동방식(시간)
  • 운동강도
  • 환경 

 

천식환자에게 좋은 운동 

 

수영 

가장 추천되는 운동입니다.
습한 환경은 자극이 적고 , 폐활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 염소냄새나 흡입에 주의해야 합니다.
 

걷기

저강도 유산소 운동으로 천식환자에게 부담이 적고 일정한 리듬으로 호흡조절 연습도 가능합니다.
 

요가, 필라테스 

호흡조절과 코어 운동은 호흡근 훈련에 좋습니다.
 
 
그리고 축구, 농구, 육상 같은 강도 높고 인터벌이 급격한 운동은 천식을 유발하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도한 추운 날씨도 기도를 자극시켜서 주의해야 합니다.
 
 
운동으로 심폐지구력, 호흡근강화, 운동 유발 천식 민감도 감소등 효과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잘 조절되고 있는 상황에서 운동은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