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근 운동은 고유수용기를 활성화하고 근육과 상호작용을 촉진 하여 낙상예방이나 퍼포먼스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동적 신경근 안정화 운동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DNS)
동적 신경근 안정화 운동은 신경계와 근육의 조화로운 협력을 통해 신체의 기능적 안정성을 회복하고 향상시키는 재활 및 운동 프로그램이다.
특히 인간의 성장과정 중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 패턴을 재현한는데 중점을 둔 운동이다.
원리
1. 발달 운동학
DNS는 유야가 생후 1년 동안 자연스럽게 배우는 움직임과 자세 조절을 모방한다.
눕기 - 뒤집기 - 네발기기 - 앉기 - 서기 - 걷기
2, 코어 운동(Core Stability)
몸통(CORE)의 안정성이 모든 움직임의 기반으로 코어를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몸통근육(복부, 척추 주변, 횡경막, 골반저근)의 협응을 통해 자세와 움직임을 안정화한다.
3. 호흡 패턴과 협응
횡경막과 골반저근의 협응을 통해 호흡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복압(intra - Abdominal Pressure)을 활용하여 자세를 안정화한다.
4. 고유감각(Proprioception)활용
관절과 근육의 감각 수용기를 자극하여 움직임의 정확성과 균형을 높인다.
DNS 운동 목표
- 자세와 움직임의 비효율성 교정
- 중추신경계의 신경근 협응 강화
- 근골격계의 불균형 및 부상 위험 감소.
- 체력, 유연성, 안정성을 동시에 증진
DNS운동방법
환자나 운동자의 기능적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유아기의 발달 운동 단계에 해당한다.

1. 누운 자세 운동
복부와 골반 안정성 훈련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90도로 들어 올리고 코어(복부)를 활성화시키고 안정성을 유지
천천히 한 다리씩 내리면서 허리 아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유지한다.
2. 네발기기 자세 운동(Quardruped Position)
상지와 하지의 협응, 몸통 안정성 강화
네발 자세에서 반대쪽 팔과 다리를 들어 올리며 자세 유지
호흡을 조절하며 균형 잡기
3. 호흡훈련
횡격막 호흡
복부와 갈비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느끼면서 호흡연습.
복부 압력을 유지하며 움직임을 조절
DNS 장점
- 운동선수, 재활, 일반인 모두 가능하다.
- 근골격계문제 개선
- 운동수행 능력 향상
- 전신의 움직임패턴 교정
DNS 적용
- 허리통증 환자 : 복부 근육의 활성화와 골반 정렬 훈련
- 스포츠 선수 : 동적 균형 및 코어 강화로 운동 퍼포먼스 향상
- 낙상 위험이 높은 고령자 : 균형과 자세 조절능력 개선
동적신경근 안정화운동(DNS)은 신경학적, 생체역학적 원리로 접근한 운동 프로그램이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자세와 더불어 부상 입지 않도록 본인의 컨디션에 맞게끔 운동을 진행하자.
운동은 건강할 때 하자

'운동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벌 했는데 살이 안 빠지면 서킷트레이닝을 하세요(운동이3가지만하자) (0) | 2025.02.25 |
---|---|
살 빼고 싶다고? 그럼 인터벌 트레이닝 해 ! (0) | 2025.02.23 |
신경근 운동으로 낙상을 예방하자. (0) | 2025.02.18 |
운동 처음하세요? 뭐 부터 할까요? (운동처방) (1) | 2025.02.16 |
만성질환과 운동프로그램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