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AF)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불규칙하게 빠르게 떨리는 부정맥(불규칙한 심장박동) 질환입니다.
원인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 중 하나이며 나이가 들수록 자주 발생합니다.
다른 심혈관질환, 특히 만성심부전, 심근병증, 판막질환,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발생합니다.
- 고혈압 : 심장에 부담을 주어 심방이 커지고 기능이 약화됩니다.
- 심장질환 :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판막질환 등
- 노화
- 갑상산기능 항진증 : 호르몬 이상으로 심박동이 빨라집니다.
- 음주 및 카페인
-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증상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심방과 심실이 조화롭게 수축하고 이완하며 혈액을 순환시킵니다.
하지만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심방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수축하여 심실로 가는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심실과 심장 펌프 기능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 피로감 :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서
- 운동능력 삼소
- 실신, 넘어짐
- 심계항진(두근거림) : 불규칙한 빠른 심장박동
- 어지러움 :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
- 흉통 : 심장이 정상적으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서
종류
심방세동은 지속 기간에 따라 분류됩니다.
발작성 심방세동(Paroxysmal AF)
수분 ~ 수 일 지속 후 자연적으로 정상 박동으로 회복
지속성 심방세동(Persistent AF)
7일 이상 지속되며, 약물이나 시술로 정상 리듬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영구적 심방세동(Permanent AF)
치료를 시도해도 정상 리듬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합병증
뇌졸증(중풍)
심방에서 혈액이 정체되면서 혈전(피떡)이 형성되어 뇌혈관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심부전
심장이 정상적으로 혈액을 펌프질 하지 못해 기능이 저하됩니다.
심근경색
심장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마비 위험 증가
치료방법
의료관리는 두 가지를 기본방법으로 포함하여야 합니다.
- 정상 동리듬의 변화
- 심실반응 속도 제어
1. 약물치료
심박수를 조절하는 약물 : 베타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심장리듬을 정상화하는 약물 :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 등)
혈전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 : 와파린, NOAC(신규 경구용 항응고제)
2, 전기적 심율동전환(전기 충격 치료, Cardioversion)
심장의 정상 리듬을 되찾기 위해 전기충격을 가하는 방법
3. 도자 절제술(전극도자 절제술, Catheter Ablation)
심방세동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심장 전기 신호를 차단하는 시술
4. 수술적 치료(메이즈 수술, Maze Procedure)
개심수술 중 부정맥을 차단하는 절개를 만드는 방법(주로 다른 심장 수술과 병행 )
생활관리
- 규칙적인 운동 : 가벼운 유산소 운동
- 건강한 식습관 : 염분과 지방 섭취를 줄이고, 채소, 과일 위주의 식단 유지
- 스트레스 관리
- 절주, 금연
심방세동과 운동
심방세동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만성심방세동 환자의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 심방세동을 가진 사람들은 정상 동리듬을 가진 사람과 비슷하게 운동을 하며 도움이 됩니다.
- 운동 처방은 운동량과 운동 자각에 근거합니다.
- 운동 저혈압의 관찰 : 빠른 심실속도 또는 심장박동 반응의 약물치료 둔화
- 심방세동은 간헐적일 수 있으므로 각 운동 세션 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심방세동은 종종 다른 심장질환을 동반합니다.

'만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에 이식한 기계들 (2) | 2025.04.16 |
---|---|
심장 문 잘 닫고 잘 열어야 하는데 (심장판막 질환) (0) | 2025.04.08 |
심장에 혈액은 충분히 공급하고 있나요? (0) | 2025.03.24 |
내가 허약한지 한 번 체크 해보자 (0) | 2025.03.18 |
월요병인줄 알았는데 만성피로증후군이었네 (4)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