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 심장의 4개 판막은 심장의 챔버로부터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한쪽 방향으로 혈류가 흐르도록 해줍니다.
판막들은 무혈관 구조이며, 심장주기, 동안 압벽에 다라 완벽하게 수동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섬유성 구조입니다.
사람의 심장은 경계가 분명한 4개의 방(chamber)이있습니다.
이 방과 방 사이는 혈액이 흐르도록 열고 닫는 개폐작용을 하는 문짝 같은 역할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판막(valve)이라 합니다.
심장의 4개 판막
- 승모판(Mitral valve)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 삼천판(Tricuspid valve)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 대동맥판(Aortic valve) :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 폐동맥판(Pulmonary valve) :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
판막질환 종류
- 협착증(Stenosis) : 판막이 좁아져서 혈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상태
- 역류증(Regurgitation) :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상태
- 혼합형(Mixed disease) : 협착과 역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원인
- 선천적 결핍
- 결합조직장애
- 노화로 인한 석회화
- 감염성 심내막염(심장이 감염이 생겨 판막이 손상됨)
- 심부전, 심근경색 같은 심질환에 따른 2차성 변화
우리나라는 초등학교나 중학교 시절 목감기의 후유증으로 *류머티즘열 질환을 앓고 난 뒤 심장 판막이 망가지는 경우가 흔하다고 합니다.
*류머티즘열 질환은 전신염증성 질환으로 연쇄상구균에 의한 편도염이나 인두염을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았을 때 생김
증상
- 숨이차다(특히 누워있을 때)
- 피로감
- 흉통
- 부종(다리, 발목)
- 부정맥(심방세동)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입니다.
처음에는 운동이나 움직일 때 느끼지만, 점차 악화되면 안정 시에도 호흡이 가빠 집니다.
그리고 누워서 잠을 못 자고, 기침, 가래가 심해집니다. 흉통을 느낄 때도 있습니다.
진단
- 심장청진
- 심전도(EKG)
- 흉부 X-ray
- 심장초음파(가장 중요한 검사)
- 심장 CT, MRI
치료
약물치료(이뇨제, 베타차단제 등)
시술 및 수술
- 판막 성형술 (기존판막을 수선하여 사용)
- 판막 치환술 ( 인공판막으로 고치는 것)
- 경피적 시술 (TAVI : 대동맥판막치환술 등 , 고령자)
*TAVI시술은 허벅지의 동맥혈관을 따라 풍선을 심장판막에 도달시킨 후
좁아진 판막사이에 풍선을 부풀리고 인공판막 스텐트를 넣어 기존 판막을 대체하는 시술이다.
운동
심장판막질환이 있는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운동 시에 혈류 조절이 어려워지고,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제한되기 때문에 다양한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운동 전 의사와 상의 후 가볍게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추천 운동
- 걷기, 고정식 자전거, 수영, 가벼운 스트레칭
- 강도는 최대심박수 40 ~ 60% 로 걷고 말할 수 있는 정도
- 빈도는 주 3 ~5회 하루 30분 정도
- 근력운동은 될 수 있으면 피하거나 아주 가볍게 하는 게 좋습니다.
평소 건강검진을 잘 받고, 생활습관이나, 운동을 통해 건강 관리를 꾸준히 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반응형
'만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내 동맥 (0) | 2025.04.23 |
---|---|
심장에 이식한 기계들 (2) | 2025.04.16 |
(심방세동)심장이 왜 이렇게 떨리지 (0) | 2025.04.01 |
심장에 혈액은 충분히 공급하고 있나요? (0) | 2025.03.24 |
내가 허약한지 한 번 체크 해보자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