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전세계 사망원인 1위 관상동맥질환(CAD)

by 외식 2025. 2. 17.
반응형

미국 심장협회는 약 55세 이상과 65세 이하의 미국 여성 중 약 3분의 1이 CAD증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한다.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을 둘러싼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다.
동맥경화증이 심장의 관상동맥에 영향을 미친결과(국소적인 심장 질환)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 벽에 지방, 콜레스테롤, 칼슘등이 축적되어 플라크(plaque)가 형성되고, 동맥이 딱딱해지거나 좁아지는 질환.
혈관 자체의 문제(전신적인 질환)
 
 

관상동맥질환과 동맥경화증

 
둘은 서로 다른개념이지만, 관련이 있다.
 
죽상 동맥경화증 진행은 모든 동맥에서 발생하지만, 가장 큰 기능적 압력은 대부분 수축기혈압의 원인으로 일어난다. 
 
 

죽상경화증의 가장 흔한 부위

  • 심장에 공급하는 동맥인 대동맥,
  • 뇌에 공급하는경동맥과 척추뇌 기저 동맥이다. 

대부분 심장마비와 뇌졸증을 일으키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이다. 
 
 

주요 원인 

  • 죽상경화증(주요 원인)
  • 고혈압
  • 고지혈증
  • 흡연
  • 당뇨병
  • 비만
  • 유전적요인 
  • 스트레스 
  • 운동부족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동맥벽에 섬유성 플라그가 축적되어 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반응으로 면역세포 산화에 의해 손상부위가 확대되어 
 
결국 지방 줄무늬(fatty streak)를 변형시킨다. 
 
지방줄무늬는 혈관 세포막의 섬유아세포와 평활근세포가 동맥의 중간층으로 이동하여 죽상경화 플라그에 단단한 섬유질 캡(cap)이 형성된다.
 
이것 때문에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유발된다. 
 
 

플라그로부터 유발되는 관상동맥질환(CAD) 증상 및 합병증

 

  • 협심증 - 가슴통증이나 압박감
  • 심근허혈 - 심장이 약해져 펌프기능저하 
  •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 손상
  • 돌연사 -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상태 

 

관리 

 
1. 생활습관 개선
균형잡힌 식사(저염, 저지방)
규칙적인 운동
금연 및 음주제한 
 
 
2. 정기검진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환자는 주기적인 검사가 필수 
 
 
3. 약물치료 
스타틴(콜레스테롤 저하제 
항혈소판제(아스피린)
 
 
4. 중재적 시술
관상독맥 스텐트 삽입술
관상동맥 우회술(CABG)
 
 
관상동맥질환(CAD) 환자는 신체활동을 늘리고 체중감소와 금연을 해야 한다.
혈당을 개선하고 심장 건강에 좋은 식단섭취와 함께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을 관리해야 한다.
 
CAD환자의 약물치료와 외과적 수술은 생활습관 변화가 너무 늦은 사람에게 가능하다.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 억제제, 스타틴, 클로피도그렐(copidogrel)및 아스피린 같은 혈소찬 길항제를 포함한 약물치료는 심혈관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외과적 수술(관상동맥혈관 성형술, 우회술)은 매년 새롭고 우수한 기술로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가슴 통증이나 방사통 같은 증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에 가거나 대사질환과 약물 복용을 하고 있다면 건강검진을 잘 받아서 관리하자.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자. 

 

반응형